“군대를 또 가라고요?” 사제에겐 ‘악몽’ 아닌 ‘은총’이었습니다 서울대교구 원로사제 이성운 신부, 해병대 전역 후 군종사제로 군대 생활 이어가
“저에게는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님이라는 좋은 스승이 계셨습니다. 기억에 남는 말씀이 있어요. ‘이 신부 기도하는가?’ 그러시면 맨날 뒤통수를 긁으며 ‘잘 못합니다’라고 말씀드립니다. ‘기도하게. 기도하지 않으면 내 마음이 가뭄에 갈라진 논바닥 같네. 그런데 30분이라도 성찰이 몸에 배어 있으면, 마음이 이슬 맺힌 풀잎과 같네. 주님께서 무엇을 주시든지 바라지 않고 머물러 있기만 해도 그렇네.’ 이 말씀을 들을 때 추기경님이 나보다 훨씬 바쁘신데, 나는 왜 기도하지 못할까? 생각했습니다.” 지난 8월 마지막 토요일, 나는 한 사제의 은퇴미사가 있는 성당으로 향했다. 42년 간의 사제 생활 중 20여 년을 군종사제로 살아온 이성운 미카엘 신부님은 신자들을 1층 로비에서 평소와 같은 표정으로 맞이하고 계셨다. 나는 세 번의 군 생활을 하신 신부님의 특이한 사목 이력이 궁금했었다 첫 번째 군 생활은 1975년 해병대 293기 입대였다. 그 후 사제가 된 그를, 교회는 두 번째 군 생활인 군종사제로 부대에 파견한다. 군종사제가 되기 위해서는 장교 훈련을 똑같이 받아야 했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들이라면, 꼭 꾼다는 악몽이 바로 ‘재입대하는 꿈’인데, 신부님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세 번째에 해당하는 군 생활을 다시 하게 된다. 신부님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말씀하셨다. - 중략 - 신부님의 은퇴미사에는 많은 사제와 신자가 오셨다. 나는 생각한다. 이 순간 은퇴 사제를 위해 그동안의 노고를 ‘축하’ 해드리는 게 먼저인지, 아니면 마지막 본당을 마치시는 뒷모습을 아쉬워하며 슬퍼해야 하는 것이 우선인지 혼란스러웠다. 내가 신학생이던 시절에, 할아버지 신부님들은 그런 이야기를 하셨다. ‘사제는 한 번 떠난 본당을, 다시 찾아가지도 말고, 그 신자들을 따로 만나서도 안 된다’라고. 이유인즉슨 ‘떠난 사제에 대한 추억이 너무 깊으면, 새로운 사제가 본당 사목을 하기 어렵다’는 연유에서였다. ‘뭐, 그렇게 빡빡하게 구는가?’라고 의아할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나는 그렇게 배워왔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도 든다. ‘떠난 사제는 이전 본당 공동체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숨기고 살아가겠지만, 본당의 신자들에게 사제의 마지막 미사는 어떤 의미일까?’라는 생각. 분명 아쉽고 그리울 것이다. 한 사제와 인생 중에 만난 시간은 큰 인연일 테니까. 그리고 떠나는 사제를 눈물로 보낸 몇 분 후에, 바로 새로 부임한 사제를 향해 웃으며 환영하는 것 또한 인생의 순리라는 것을 신자들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은퇴미사 후에 통화를 하게 된 신부님의 목소리는 밝았다. 큰 짐을 내려놓고 예수님 앞에 안긴 어린이처럼. 그분의 뜻을 따르는 순명이란 대체 무엇일까. 피하고 싶던 인생의 물살 속에서 우리는 보이지 않는 은총의 물길을 깨닫는다. 순명에는 은퇴가 없듯이, 이성운 미카엘 신부님은 또 다른 부르심에 오늘도 응답하고 계셨다. 기사전문보기 출처 : 가톨릭신문
|